*참고 사이트
- 윈도우 설정
https://docs.flutter.dev/get-started/install/windows
- 맥 설정
https://docs.flutter.dev/get-started/install/macos
※ 공통 개발환경 구성 ※
1. Flutter SDK 설치
https://docs.flutter.dev/get-started/install

2. PATH 설정
SDK 파일을 원하는 위치에 압축 해제 후 flutter/bin 폴더 위치를 환경변수에 추가
3. Flutter doctor 실행
cmd창에서 flutter doctor 명령어 실행 시 flutter 설정에 필요한 사항들 검사 후 권장 사항 안내
안내된 사항들에 대해 조치해주면 flutter 사용 가능

윈도우 개발 환경 구성
1. Android studio 설치
https://developer.android.com/studio?hl=ko

2. Android SDK 및 기타 툴 설치


SDK build-tools / SDK command-line tools / emulator 등 선택 후 적용
3. 프로젝트 생성 시 flutter 프로젝트로 생성하면 flutter 프로그램 개발 가능

+ 안드로이드 앱 테스트 방법
1. 기기 컴퓨터와 USB 연결
2. 개발자 연결 설정
핸드폰의 설정 > 빌드 번호 연속 클릭(개발자 옵션 활성화) > 개발자 옵션 > USB 디버깅 활성화
3. Flutter project 프로그램 상단에 실행 대상 기기 선택 후 실행

4. 기기에 어플 자동 설치되며 실행됨
IOS 개발 환경 구성
1. Android studio 설치
윈도우와 동일
2. Xcode 설치
앱 스토어에서 설치 가능 – 설치 후 프로그램 실행하여 라이선스 계약 서명 동의

3. cocoapods 설치 (패키지 관리용)
sudo gem install cocoapods
+ 엡 테스트 방법
1. 핸드폰 PC와 연결
2. Flutter project > ios > Runner > Info.plist > 상단의 xcode에서 열기 클릭
3. Xcode Runner > signing & capabilities > team 에서 개발자 id로그인

4. 개발자 모드 실행
핸드폰의 설정 >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> 개발자 모드
5. 신뢰하는 개발자 설정
핸드폰의 설정 > 일반 > VPN 및 기기관리 > 신뢰
6. 앱 실행